본문 바로가기

노트8

한계를 규정짓지 말아라 '나'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20대 후반이 되는 지금, 아직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타협하는 부분이 생겨나고 있는 것 같다.동경하는 누군가의 모습을 언젠간 뛰어 넘을 수 있다라는 패기는 점차 사라지고나의 한계를 인정하고 동경이 동경으로만 끝나고 있다.왜 내가 내 자신의 한계를 단정짓는것일까. 한심한 생각에 잠시 사로잡혀있던 나를 채찍질하게 된다. '한계'는 없다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한계를 두면 그 한계가 내 삶의 모든부분을 잠식한다. 정체기는 있을 수 있으나 한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은 끊임없이 자신의 수준을 높여야한다 다시 한 번 나는 나를 뛰어 넘고자한다. 2024. 11. 20.
삶이 너무 힘들다고 느껴진다면 삶이 너무 힘이 들면 기본적인 것부터 시작하자 1. 아침일찍 일어나기2. 침구류 정리하기3. 집을 깨끗이 정리하기4. 산책하기5. 가족들과 식사하기6. 친구들과 수다 떨기등등 어쩌면 클리셰와 같은 조언이자 기본적인 사항들이지만, 생각보다 기본적인 것을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상적인 것들이 바로서야 비로소, 더 높은 가치들에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악이 만연한 사회이지만, 나는 따뜻한 마음과 연민을 가지며 살아가고 싶다.  힘들고 지치는 일이 많은 사회지만, 나는 나 자신을 돌볼 줄 아는 여유와 베풀 수 있는 사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살아가다 보면, 내가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를 망각을 하곤 한다.  내가 누구인지,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싫어하는지 .. 2024. 9. 30.
현상학이란? - 창시자 훗설 일반적인 의미의 현상 - 사물의 객관적 상태 ex) 물체는 아래로 떨어진다 / 초전도체는 영하 268.8도에서 전기 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이 있다. 현상학적 의미의 형상 - 순수의식 안에서 놓인 대상  책이 있다. 책이 주체와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주체가 있기 때문에 주체 안에서 현상으로 책이 존재한다.  세상이 내 안의 현상안에 들어와있다. 현상학은 주체안에 놓인 대상이라는 현상을 탐구한는 학문  대상은 객관적으로 판단하기에 앞서 우리의 순수의식부터 파악해야함 그러기 위해선 에포케 (판단중지)가 필요하다.  모든 판단을 중지하며 순수의식의 상태가 된다. 순수의식은 판단 중지의 대상이 아님  꽃이 있다 - 꽃의 나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책상위에 존재한다.  꽃을 보고있다. - .. 2024. 8. 22.
한국의 우울증 미국의 베스터셀러 작가인 "마크 맨슨"이 한국을 방문하고 평을 했는데 그 평이 굉장히 화제이다. 그는 한국인들은 깊은 우울증을 지니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 원인을 유교와 자본주의에서 찾았다. 그는 "한국은 유교의 가장 나쁜 부분인 수치심과 남을 판단하는 부분을 극대화하는 반면, 가족이나 지역 사회와의 친밀감을 저버렸다"라고 하며, 자본주의의 최악의 단면인 "현란한 물질주의와 돈벌이에 대한 집착을 강조하는 반면 가장 좋은 부분인 자기표현과 개인주의는 무시했다"라고 말한다. 너무나도 우리나라의 현실을 아주 잘 직시해 주는 말이라서 심적으로 굉장히 공감되면서도, 마치 한편으론 씁쓸한 기분이다. 집단주의와 가족친밀감의 쇠퇴 아시아의 5개국(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의 성공적인 경제적 성장은 가족 중심과 .. 2024.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