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

현상학이란? - 창시자 훗설

by 이깜깜 2024. 8. 22.

일반적인 의미의 현상 - 사물의 객관적 상태

 

ex) 물체는 아래로 떨어진다 / 초전도체는 영하 268.8도에서 전기 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이 있다.

 

현상학적 의미의 형상 - 순수의식 안에서 놓인 대상

 

 

책이 있다.

 

책이 주체와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주체가 있기 때문에 주체 안에서 현상으로 책이 존재한다. 

 

세상이 내 안의 현상안에 들어와있다.

 

현상학은 주체안에 놓인 대상이라는 현상을 탐구한는 학문

 

 

대상은 객관적으로 판단하기에 앞서 우리의 순수의식부터 파악해야함

 

그러기 위해선 에포케 (판단중지)가 필요하다. 

 

모든 판단을 중지하며 순수의식의 상태가 된다. 순수의식은 판단 중지의 대상이 아님

 

 

꽃이 있다 - 꽃의 나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책상위에 존재한다. 

 

꽃을 보고있다. - 꽃이 책상위에 존재하는지는 모르지만, 어쨋든 나는 책상위에 있는 꽃을 보고있는것을 부정하지는 못한다.  우리 의식이 능동적으로 꽃을 보고있는 것이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를 규정짓지 말아라  (0) 2024.11.20
삶이 너무 힘들다고 느껴진다면  (2) 2024.09.30
한국의 우울증  (1) 2024.01.31
어떤사람이 되려는가에 대한 고찰  (1) 2024.01.30
2020년의 8월  (0) 2020.08.26